LH 청년 전세 임대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청년들의 가장 큰 고민은 주거문제라 생각합니다.
특히 서울로 취업, 학업 등으로 올라온 분들은 더더욱 공감하실 겁니다. 그분들에게 좀 더 좋은 조건 환경에 거주할 수 있도록 알차게 포스팅하겠습니다. 정독 부탁드릴게요.
LH 청년 전세 임대주택
젊은 청년들을 위해 주거 비용의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LH에서 주택 소유자와 대신 계약 후 재임대해주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합니다.
임대기간은 2년, 3회까지 계약 가능합니다. 총 6년 거주 가능하고, 중간에 졸업 및 취업 등의 자격 요건 부합되면 재계약은 불가능합니다.
우리가 보통 흔히 생각하는 임대 주택은 새아파트를 공급해 입주시키는 방식으로 생각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단독, 다세대, 원룸 등의 주택을 LH가 매입 혹은 계약하여 그 주택을 희망하는 청년이 있을 경우 대신 계약 후 제공해주는 사업입니다.
LH 청년 전세 임대주택 자격
□ 입주자격
LH 청년 전세 임대주택은 무주택 요건 및 소득 자사 기준을 충족하는 대학생, 취업생, 만 19~39세 대상이 기본 입주자격 요건에 해당합니다. 무주택은 반드시 필수 조건입니다.① 주거할 주택이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입학/복학 예정인자
② 대학/고등/고등기술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한 2년 이내 취업준비 중 인자
③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인자
□ 입주 선정 우선순위
① 1순위: 생계/주거 의료급여 수급자 가구,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가구, 차상위계층 가구의 청년, 보호종료아동, 청소년 쉼터 퇴소청소년
② 2순위: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이고, 본인과 부모의 자산이 국민임대주택의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청년
③ 3순위: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이하이고, 본인의 자산이 행복주택 청년의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청년.
행복주택 청년의 자산기준
2021년 기준 보유자산 2억 5,400만원
자동차 3,496만원
LH 청년 전세 임대주택 신청 절차
① https://www.lh.or.kr/index.do 한국토지주택공사 홈페이지 접속 > LH청약센터 클릭
② LH청약센터 클릭
③ 매입임대 / 전세임대 아래 임대정보 클릭
④ 여러 공고문이 올라온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되는 지역 있으시면 지원하시면 돼요.
임대기간, 조건, 한도액 등이 자세히 나와있으니깐
확인 꼼꼼히 해보세요.
해당 사항이 없다면 다른 전세 지원금 제도를 알아보면 됩니다.
아래 설명드릴게요
청년 임차보증금 지원 서비스
서울시뿐만 아니라 그 외 지자체에서도 여러 지원사업이 있으니
이 방법 또한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거예요.
LH 청년 전세 임대주택 지원금액
보증금 1순위/2순위는 100만원, 3순위는 200만원입니다.
보증금 지원 규모별 지원금리
1순위, 2순위: 3천만원이하(연1.0%), 3천만원초과~5천만원이하(연1.5%), 5천만원초과(연2.0%)
3순위: 3천만원이하(연2.0%), 3천만원초과~5천만원이하(연2.5%), 5천만원초과(연3.0%)
지원금 한도액
1인거주: 수도권 기준 1억 2천만원, 광역시 9,500만원, 지방 8,500만원
2인거주: 수도권 기준 1억 5천만원, 광역시 1억 2천만원, 지방 1억원
3인거주: 수도권 기준 2억원, 광역시 1억 5천만원, 지방 1억 2천만원
이금액에 초과하는 전세금의 경우 입주자가 부담할시 지원이 가능합니다. 대신 전세금 총액 150% 이내로 제한돼있으니 유의하세요.
무엇보다도 정보를 빠르게 취득해서 신청방법 미리 숙지하시고 모집공고 올라올 시에 바로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환경에서 청년들이 거주하셔서 삶의 질이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댓글